1. 일시 : 2020년 6월 2일(화) 14:00
2. 장소 : 교학대학 2층 원불교사상연구원
3. 참석자 : 원영상, 조성환, 이주연, 김봉곤, 허남진, 야규마코토, 황명희, 송지용, 최규상(9명)
4. 도서 및 발제 : 에두아르도 콘 『숲은 생각한다』_발제 이주연
5. 내용
1장 열린 전체
세계 안에 있으며 세계에 속해 있는 /
살아있는 기호들 / 부재 / 언어를 지방화하기 /
근본적인 분리의 느낌 / 연속성에서 창발하는 참신함 /
창발하는 실재 / 성장 / 부분에 앞서는 전체 / 열린 전체
2장 살아있는 사고
비인간 자기들 / 기억과 부재 / 생명과 사고 /
자기들의 생태학 / 기호적 농밀함 / 관계성 /
알지 못한 채 알아가기 / 주술화 / 애니미즘 /
퍼스펙티브주의 / 생각의 느낌 / 살아있는 사고
3장 혼맹
피부 너머의 삶 / 죽음을 완결시키다 / 배분되는 자기성 /
자기 자신의 너머를 보다 / 포식 /
인간적인 것을 낯설게 만들기 / 혼맹
4장 종을 횡단하는 피진
너무나 인간적인 / 개-인간의 얽힘 / 꿈꾸기 /
개과동물 명령법 / 종들 간의 발화 /
형식의 제약 / 수수께끼 / 종을 횡단하는 피진
5장 형식의 노고 없는 효력
고무 / 창발하는 형식들 / 숲의 주재자들 /
기호적 위계 / 형식의 놀이 / 수양 / 내부 /
역사의 파편 / 형식의 노고 없는 효력
6장 살아있는 미래(그리고 죽은 자의 가늠할 수 없는 무게)
언제나 이미 루나 / 이름 / 주인 / 미래에 있음 /
사후 / 죽은 자의 가늠할 수 없는 무게 /
자기의 ‘너’ / 살아있는 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