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학회게시판

원광대학은 코로나에 어떻게 대응했나? 2. - 박맹수 (원광대학교 총장)

이부자리를 세탁하고이런 일들을 해야 하는데, 440명이나 되니까 학교 직원만으로는 여력이 안 되었다이 때 구세주가 등장했다퇴직 직원 10여 분이 이 일을 하겠다고 자청한 것이다그것도 완전 무료 봉사로 -. 지금도 생각하면 기적 같은 일이었다교육부에 보고했더니 전국에 이런 사례가 없었다고 한다이처럼 우리 대학 안에서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그동안 잊고 있었던 공동체 정신이 되살아나기 시작했다그리고 그렇게 부활한 공동체 정신은 우리 스스로를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지역 간의 벽도 허물고나라와 나라도 하나로 잇고 있다공동체정신의 부활과는 대조적으로 사라진 것도 있다젊은이들 사이에 헬조선이라는 말이 쑥 들어간 것이다대한민국이 생각했던 것보다는 괜찮은 사회구나살만한 나라구나라는 인식이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공유되었기 때문이다이처럼 코로나19는 우리로 하여금 잊고 살았던 우리 안의 보물을 재발견하고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시대의 동학사상 - 공화와 평화

 

나의 평생 연구주제는 동학이다그래서 동학 얘기를 빼놓을 수 없다원광대학교의 대표적 연구기관인 원불교사상연구원의 멤버들이 참여한 [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 -한국사회 COVID19 시민백서](모시는사람들)에 보면 관민상화(官民相和)’라는 말이 나온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 때 동학군이 전주성을 점령하자 청나라와 일본이 서로 조선을 차지하기 위해 군대를 출동시키려 하였다그러자 전주성에서 전라감사 김학진과 전봉준 장군이 서로 약속을 하였다탐관오리들이 부당하게 세금을 징수하고 동학도를 탄압하는 것을 바로잡는다는 것을 조건으로 동학군은 해산하겠다고-. 이것이 전주화약(全州和約)’이다이런 식으로 양자가 화약을 맺어동학군은 자진 해산을 하고전라감사는 동학군의 안전한 귀가를 보장하였다이것을 관민상화라고도 한다이 전통이 21세기에 부활해서 코로나19 사태라는 지구적 재난 앞에서 민관협치의 형태로 부활한 것이다한국사회의 성공적인 민관협치는 코로나19 초기에 일본의 <산케이신문>에서도 평가한 적이 있다.  [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에서는 이것을 대한민국의 공화(共和)’의 출발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동학은 공화와 함께 평화도 말하고 있다작년(2019)이 마침 3·1운동 100주년이었다주지하다시피 3·1운동은 동학의 후신인 천도교가 기획한 평화운동이다그런데 내가 대학에 다닐 때만 해도 연구자들 사이에서 민족대표 33인을 좋게 평가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었다. ‘기회주의자다’ ‘끝까지 지켜야지’ ‘비겁하다’ ‘타협주의다라며 비판했다그런데 작년 100주년 때에는 평가가 완전히 달라졌다.  <기미독립선언서>의 평화사상에 모든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이다<기미독립선언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비폭력주의로 일관하고 있고특히 맨 마지막의 '공약삼장'은 100년이 지난 지금도 전 세계인들이 고개를 끄덕일 만한 내용이라는 것이다그런데 이 3·1운동을 주도했던 33인 가운데 15명이 천도교인이었다그 15명의 지도자들의 이력을 분석했더니그중의 3분 2가 동학농민혁명 지도자들이었다그래서 3·1운동은 인적(人的구성에 있어서 명확하게 동학농민혁명을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그런데 동학농민혁명도 사실은 평화운동이었다. 1997년에 일본 도쿄의 외교사료관에서 동학농민혁명 당시 지도부가 내린 공문을 발견한 적이 있는데그 내용이 참으로 감동적이었다.

 

우리 동학군은 칼에 피를 묻히지 않고 이기는 것을 으뜸의 공로로 삼고어쩔 수 없이 싸우더라도 사람 목숨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행진할 때는 절대로 민폐를 끼치지 말고효자 충신 열녀 존경하는 학자들이 사는 동네 10리 안에는 절대 주둔하지 말라굶주린 자는 먹여주고 병든 자 치료해 주고 도망가는 자 쫓지 말고 항복하는 자는 사랑으로 받아들이고 나라 팔아먹는 자들은 제대로 벌주고부정부패하는 지방관들은 척결하고불효자는 벌 줘라.”

 

   <동학군 12개조 규율> 바로 앞에 나오는 내용이다.  <12개조 규율>은 학계에 널리 알려져 있지만그 전문(前文)에 해당하는 우리 동학군은 칼에 피를 묻히지 않고 이기는 것을 으뜸으로 삼고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모든 군대는 행군을 하거나 훈련을 하거나 할 때 직간접적으로 민간인에게 피해를 주기 쉽다그런데 동학농민군은 탐관오리의 민폐를 바로잡기 위해 일어난 군대이기 때문에 민간인에게 피해를 주어서는 안 된다그 순간 봉기한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다이것이 동학군의 본래 모습이었다그래서 나는 [생명의 눈으로 보는 동학]이라는 책에서 동학농민혁명을 살림의 혁명이라고 하였고동학농민군을 살림의 군대라고 표현하였다죽어가는 생명을 살리려고 한 혁명이자 군대였다는 것이다.

 

코로나시대의 동학사상 - 신분적 평등과 경제적 평등

목록